SK에코플랜트는 더 이상 Internet Explorer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최적의 환경을 위해 다른 웹브라우저 사용을 권장합니다.

넷플릭스 ‘블랙미러’ 속 태양광 충전 전기차, 일상이 되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블랙미러’ 속 태양광 패널로 충전되는 전기자동차는 현실이 될 수 있을까? 상상이 현실이 된 그 세상에서 우리는 또 무엇을 눈여겨 봐야 할까?

‘블랙미러(Black Mirror)’는 고도로 발달한 과학 기술이 우리 사회에 미칠 영향을 담아낸 연작 SF 드라마 시리즈다. 상상 속 기술이 실제로 구현된 세계 속 인간이 지닌 최악의 본성을 주제로 다루며, 틀을 깨는 기이하고 과감한 스토리텔링을 통해 생각거리와 함께 깊은 감정적 여운을 남겨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를 대표하는 명작으로 꼽힌다.

그중에서도 시즌4의 여섯 번째 에피소드인 ‘블랙 뮤지엄(Black Museum)’ 편은 ‘레전드 에피소드’로 꼽히는데, 소름 끼치면서도 짙은 여운을 남기는 스토리도 특별하지만, 당연한 일이라는 듯 무심하게 소개되는 미래 기술들이 신선한 자극을 준다. 이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미래 기술들은 언제쯤 현실이 될까?

.

태양광 충전으로 움직이는 전기차, 언제쯤 탈 수 있을까?

블랙미러 시즌4 블랙뮤지엄 공식 예고편(출처: 넷플릭스 코리아 공식 유튜브 채널)

특히 블랙 뮤지엄 도입부에는 주인공이 사막을 배경으로 클래식한 외형의 낡은 차를 타고 등장하는, 시대를 짐작하기 어려운 장면이 등장한다. 주인공은 잠시 주변을 살피더니 사막 한가운데 차량을 세운 후 트렁크에서 접이식 태양광 패널을 꺼내 보닛 위에 펼쳐 놓고 충전을 시작한다. 손바닥 만한 태양광 패널 몇 개를 보닛 위에 던져 놓는 것만으로 차량을 ‘완전 충전’할 수 있다니, 태양광 패널의 충전 효율이 지금의 수준을 아득히 뛰어넘는 곳에 도달한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태양광 패널로 자동차를 충전하는 것 자체는 지금도 가능하다. 실제로 국내 자동차 기업이 이미 수년 전 태양광 충전 기술을 활용한 전력을 수급하는 모빌리티 기술을 실현한 적이 있다. 이 기업은 지난 2019년 기존 세단에 태양광 패널을 장착한 모델을 최초로 선보였으며, 이후 2021년에는 태양광 패널을 탑재한 지붕인 ‘솔라 루프(Solar Roof)’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순수 전기차 모델을 출시하기도 했다. 당시 이 옵션은 태양광 충전만으로 1년에 1,500㎞를 주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화제를 모았지만, 여러 제약 탓에 실제 판매량은 저조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기술 수준에서는 태양광 충전은 여름엔 장마, 겨울엔 짧은 일조시간 때문에 최대 효율을 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해 태양광 발전의 효율은 8~15%로 알려져 있는데 연간 0.3~0.8%씩 수명이 감소해 효율이 떨어지며, 기온이 25도에서 1도씩 올라갈 때마다 발전 효율이 약 0.5%씩 감소한다는 한계도 있다.

라이트이어가 선보인 100% 태양광 충전만으로 움직이는 전기차(출처: 라이트이어 공식 유튜브 채널)

그래도 실망하기는 아직 이르다. 최근 네덜란드에 본사를 둔 태양광 전기차 제조기업 ‘라이트이어(Lightyear)’가 세계 최초로 100% 태양광을 통해 전기차 동력을 생산하는 기술을 상용화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태양광 발전 효율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이 차량은 지붕과 보닛이 태양 전지판으로 완전히 덮인 구조로 설계돼 있다. 날씨가 아주 좋은 날에는 한 시간 충전하면 12㎞를 달릴 수 있으며, 흐린 날에는 한 시간 충전해 5㎞를 주행할 수 있다. 지금은 생산량이 많지 않고 대당 2억 원 중반대의 높은 가격이 책정돼 있지만, 2025년에는 대중적인 가격의 제품도 만나볼 수 있을 예정이다.

태양광 기술이 고도화될수록 충전 효율은 더 향상될 것이다. 조만간 패널로 차량 외관을 모두 덮지 않고, 차량 유리가 투명한 태양광 패널 역할을 하며 주행 도중 실시간으로 전력을 충전하는 전기차나, 대충 보닛 위에 던져 놓아도 알아서 전력을 충전해주는 휴대용 태양광 충전기를 넷플릭스 드라마가 아닌 우리 일상 속에서 흔히 볼 수 있게 될지도 모른다.

.

태양광 급속충전이 당연해진 미래에도 폐배터리는 배출된다

주인공 차량 보닛 위에 접이식 태양광 패널이 얹혀 있다.(출처: 넷플릭스 제공)

다시 블랙 뮤지엄 주인공이 타고 왔던 그 차량으로 돌아가 보자. 태양광 패널 기술이 발전하는 것과 별개로, 전력을 저장하는 공간인 배터리는 그 시대에도 반드시 필요하다. 기술이 고도로 발달했다고 가정했을 때 배터리의 크기나 효율이 지금과 많이 다를 수 있지만, 배터리를 충전했다가 방전하는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았을 것이다.

배터리는 소모품이다. 언젠가는 수명이 다한다는 뜻이다. 스마트폰 배터리도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다 보면 배터리의 용량이 점점 줄어 2~3년이면 교체해야 하는 시기가 온다. 같은 이유로 전기차용 배터리도 언젠가는 폐기해야 할 시점이 온다. 지금 생산되는 전기차에는 주로 리튬이온 배터리가 사용되는데, 현재 기술 수준에서 전기차 배터리의 교체 시점은 전기차가 15만~20만㎞를 주행한 시점인 7년에서 10년 사이로 알려져 있다. 주인공의 차량은 외형으로만 봐도 최소 7년은 도로 위를 달렸을 것이 분명하고, 출고된 지 10년이 넘었을 수도 있어 보인다. 그렇다면 그 사이 배터리를 한 번은 교체했을 텐데, 폐배터리는 어떻게 처리됐을까?

태양광 충전만으로 움직이는 전기차가 도로 위를 구른 지 이미 10년은 흐른 세계관이다. 이미 세계 곳곳에서 폐배터리가 쏟아져 나오고 있을 것이다. 만약 이 수많은 폐배터리를 그대로 매립했다면 매립지 근처의 토양이나 지하수는 심각하게 오염돼 있을 것이고, 소각했다면 폭발과정에서 유해가스가 무수히 방출됐을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누군가 폐배터리를 수거해 잘 처리하고 있거나 재활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훨씬 높다. 알고 보면 폐배터리는 단순한 쓰레기가 아니라 자원의 보고이기 때문이다.

이미 폐배터리를 재활용해 가치를 창출하는 폐배터리 산업은 충분히 주목받고 있다. 폐배터리 재활용 시 먼저 분해 및 분쇄 처리 과정을 거쳐 블랙파우더(Black Powder) 형태로 회수되는데, 여기에서 화학 처리 과정 및 정제 과정을 거쳐 리튬, 니켈, 코발트 등 주요 광물을 다시 추출할 수 있다. 이렇게 얻은 광물 자원은 또 다른 배터리를 제조하는 데 사용된다. 이처럼 사용된 자원을 재활용하면 자원을 채취할 때 배출된 탄소를 일부 상쇄할 수 있어 폐배터리 재활용은 탄소 중립 실현에 있어 중요한 수단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미래에도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은 유망하거나 이미 시장이 자리를 잡은 핵심 산업 중 하나일 확률이 높다.

블랙 뮤지엄 편이 보여주는 미래는 아직 실현 단계에 이르지 않은 미래 기술이 초래한 결과지만, 그렇다고 나와 무관한 일로 치부할 것도 아니다. 우리 사회는 지금도 블랙 뮤지엄 속 미래 기술이 실현된 미래를 향해 열심히 나아가고 있으며, 언젠간 그 기술이 실현된 일상을 살아가게 될 것이다. 그렇기에 과학 기술을 남용하면 인간에게 끔찍한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는, 블랙 뮤지엄 편이 우리에게 전하는 경고에도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도 좋지만, 새로운 기술이 우리 사회를 어떻게 바꿔 놓을지도 함께 고민해야 하지 않을까.

연관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