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코플랜트는 더 이상 Internet Explorer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최적의 환경을 위해 다른 웹브라우저 사용을 권장합니다.

“2023 전 세계를 무너뜨린 역대급 자연재해는 시작에 불과하다” 세계 자연재해 감소의 날

세계 곳곳에서 이상기후로 인한 자연재해가 점차 잦아지고, 그 피해양상은 더 극단으로 치닫고 있다. ‘세계 자연재해 감소의 날’을 맞아, 올 한 해 극심한 피해를 안긴 전 세계 대형 자연재해들을 살펴보고 오늘날 지구가 처해있는 기후위기의 현주소를 진단해 보자.

.

국제사회, 자연재해에 주목하다

매년 10월 13일은 ‘세계 자연재해 감소의 날(International Day for Disaster Risk Reducrion)’이다. 이 날은 국제연합(United Nations, UN)이 1989년 총회서 자연재해의 위험성을 알리고 자연재해 위험을 경감하기 위한 기념일 제정을 촉구한 것을 계기로 시작됐다. 이후 매년 10월 둘째 주 수요일을 ‘세계 자연재해 감소의 날’로 기념해 오다가 2009년부터 10월 13일이 공식적인 기념일로 지정됐다.

UN의 재난위험경감사무국(United Nations Office for Disaster Risk Reduction, UNDRR)은 매년 세계 자연재해 감소의 날마다 그 해의 주제를 선정해 다양한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올해 캠페인 주제는 자연재해가 불평등을 심화하고 불평등이 사람들을 자연재해에 더 취약하게 만드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자는 의지를 담아 ‘회복력 있는 미래를 위한 불평등 퇴치(Fighting inequality for a resilient future)’로 선정, 캠페인 확산 및 공유를 위한 해시태그로는 #BreakTheCycle을 제시했다.

UNDDR은 매년 세계 자연재해 감소의 날을 앞두고 자연재해와 관련된 이슈를 다루는 보고서도 발간하고 있다. 올해 보고서에서는 “극심한 이상기후의 약 75%가 현재 탄소 배출로 인한 기후 변화와 관련돼 있다”는 연구 결과를 소개하며, 앞으로 ”2030년까지 전 세계는 연간 약 560건, 하루 평균 약 1.5건의 심각한 재해에 직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2030년까지 기후 변화와 재해의 영향으로 약 3,760만 명이 추가로 극심한 빈곤 상태에 놓이게 될 것”이라며 “최악의 경우 그 규모는 1억 700만 명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도 경고했다.

실제로 기후 변화는 전 세계 곳곳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인류를 위협하고 있다. 세계기상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에 따르면 극단적인 이상기후, 물 부족 등 기후 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발생 건수는 1970년대 711건에 불과했으나, 2000년대 3,536건, 2010년대 3,165건으로 2000년대 이후 급증했다.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 규모 역시 1970년대 175억 달러에서 2010년대 1,381억 달러로 8배 가까이 증가했다.

.

올해 전 세계를 충격에 빠뜨린 대형 자연재해들

이를 증명하듯 지난해와 올해도 이상기후로 인한 자연재해가 줄을 이었다. 특히 올해는 이상기후를 넘어 여태껏 경험해 보지 못한 ‘극한기후’가 전 세계 곳곳에서 발생해, 수많은 사람이 고통받고 막대한 규모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다.

올해 인류를 가장 괴롭힌 건 ‘폭염’이었다. 올 여름은 관측 사상 가장 뜨거운 여름이었는데, WMO에 따르면 올해 7월의 전 세계 평균 지표면 기온은 16.95도로 관측을 시작한 1940년 이후 가장 높았고 8월에도 사상 두 번째로 높은 16.82도를 기록했다. 이로 인해 전 세계 곳곳에서 기록적인 폭염이 보고됐고, 수많은 나라에서 피해 사례가 속출했다.

지난 18일 캐나다 웨스트켈로나의 호숫가 위 산비탈에서 화마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출처: 연합뉴스)

올해는 사상 최악의 산불이 전 세계를 덮친 해로도 기록될 전망이다. 폭염으로 인한 기온 상승, *열돔 현상 등으로 산림에 불이 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면서, 그리스, 스페인, 포르투갈 등 유럽 곳곳과 미국 하와이, 캐나다 등 북미 지역에서 대규모 산불이 기승을 부린 것이다.

*열돔 현상: 고기압이 반구 모양의 돔처럼 대기를 감싸 고온의 공기가 아래로 밀려 그 안에 갇히면서 근처 지역의 온도가 치솟는 기상 현상.

특히 캐나다에 발생한 사상 최대 규모의 산불은 지난 4월부터 시작돼 10월인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약 1,560만 헥타르(15만 6,000㎢)가 소실되고 막대한 양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등 피해가 계속 누적되고 있다.

또한 기온이 오를수록 대기는 더 많은 수분을 머금을 수 있어, 그만큼 비가 더 강하게 자주 내리고 단기간에 특정 지역에 엄청난 양의 비가 내릴 가능성이 커진다. 이에 올해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 ‘국지성 호우’로 인한 피해가 유독 잦았다.

그중에서도 지난 5월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 주에서는 오랜 기간 가뭄이 이어지다 이틀간 500㎜의 ‘물폭탄’이 쏟아졌다. 이 지역 연평균 강우량(약 1,000㎜)의 절반에 달하는 6개월 치의 비가 이틀 동안 집중된 것이다. 이로 인해 2만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고 10여 명의 인명 피해를 냈으며, 약 97억 달러에 달하는 경제적 손실을 입었다.

아프리카 말라위 브랜타이어의 주민들이 지난 3월 사이클론 ‘프레디’의 영향으로 파괴된 집 잔해를 물에서 건져내고 있다.(출처: 연합뉴스)

바다에서 만들어져 육지에 상륙했다가 다시 바다로 돌아가 세력을 키워 재차 육지로 되돌아오는, 전례 없는 행보를 보인 ‘역대급’ 태풍도 등장했다. 올봄 아프리카 동남부에 깊은 상흔을 남긴 사상 최악의 사이클론 ‘프레디(Freddy)’가 그 주인공이다.

지난 2월 초 인도네시아 발리 남부에서 생성된 프레디는 약 한 달간 남인도양을 횡단해 2월 말경 모잠비크에 상륙했다. 처음에는 일반적인 태풍처럼 육지에 상륙한 이후 세력이 줄어드는 듯하다 갑자기 인도양으로 돌아가 세력을 회복했고, 마치 인간에 대한 악의라도 품은 것처럼 다시 모잠비크로 돌아와 말라위까지 북상하며 1,400여 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프레디는 3월 중순까지 37일 동안 지속돼 역대 최장 기간 기록을 경신했고, 가장 에너지의 양이 많았던 태풍으로도 기록됐다.

이처럼 자연재해가 잦아지고 피해 양상이 점점 극단으로 치달으면서, 경제적 손실 규모도 커지고 있다. 글로벌 재보험중개업체 갤러거 리(Gallagher Re)가 지난 7월 발표한 ‘2023년 상반기 자연재해 보고서(Natural Catastrophe Report: First Half 2023)’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 세계 자연재해 보험 손실 규모는 520억 달러로, 최근 10년 평균(440억 달러)보다 1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그중 88%(460억 달러)는 날씨와 관련된 보험 손실로 집계됐다.

.

끓어오르는 지구 온도, 이제 태양과 화산까지 가세

올해 전 세계에서 발생한 극단적인 이상기후는 단순히 지구온난화만으로 설명하기에는 그 정도가 지나친 측면이 있다. 이에 지구 기온을 올리는 다른 요인을 찾기 위한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특히 저명한 지구과학자인 미국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학교(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의 마이클 와이세션(Michael Wysession) 교수는 호주의 비영리학술매체 ‘더 컨버세이션(The Conversation)’에 게재한 기고문 ‘factors driving 2023’s extreme heat and climate disasters’를 통해 올해 지구의 온도를 끌어올린 주요 요인으로 지구온난화와 함께 엘니뇨, 태양 활동, 수중 화산을 제시해, 많은 관심을 모았다.

지난 7월 30일 국립대구과학관 실내 전시장에 엘니뇨 현상을 나타내는 SOS시스템이 전시돼 있는 모습.(출처: 연합뉴스)

‘엘니뇨(El Niño)’는 열대 태평양의 지표수가 방향을 바꾸고 가열될 때 몇 년마다 발생하는 기상 현상으로,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약 0.5℃ 더 높아져 지구 전체의 기온을 약 0.2℃ 올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올해 지구 온도가 치솟은 데는 엘니뇨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는데, 미국 기후예측센터 CPC/IRI는 96%의 매우 높은 확률로 내년 3월까지 엘니뇨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태양 활동’은 태양이 방출하는 에너지가 11년 주기로 1,000분의 1씩 변하는 것을 뜻한다. 태양의 에너지 방출량은 극소기에서 극대기로 향할수록 계속 증가하는데, 이 같은 변화는 인간이 알아차리기 힘들 정도로 미세하지만 지구의 기후 시스템에는 영향을 미친다. 지난 2020년 9월 미 항공우주국(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 해양대기청(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 우주환경청(International Space Environment Service, ISES)으로부터 소집된 과학자들은 태양 활동이 2019년 12월 25번째 주기에 공식 돌입해 2025년 7월 극대기를 맞을 것으로 예측했다. 하지만 최근 발간된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 9월호에 따르면 태양 활동은 이미 이 예측을 초과했으며, 예상보다 이른 내년 중 극대기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통가 화산 폭발 영향 분석(출처: JTBC Entertainment 유튜브 공식 채널)

지난해 1월 남태평양에 위치한 ‘수중 화산’인 통가 화산(Hunga Tonga-Hunga Ha’apai Volcano)이 21세기 들어 최대 규모로 분화한 것도 올해 지구의 온도를 끌어올린 요인으로 꼽힌다. 일반적으로 화산이 폭발하면 분출된 *황산염 에어로졸이 지구로 들어오는 햇빛의 일부를 차단해 지구 온도를 낮추는데, 수중 화산은 황산염 에어로졸을 분출하는 대신 바닷물을 증발시켜 온실가스 역할을 하는 수증기를 배출하기 때문이다. 실제 통가 화산의 분화로 인해 대량의 수증기가 배출됐고, 학계에서는 이로 인한 온난화 영향이 최소 5년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에어로졸(Aerosol): 공기 중에 떠도는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미세한 입자. 대체로 반투명한 입자는 빛을 반사하고 어두운 입자는 빛을 흡수하는데, 화산 폭발 시 발생하는 황산염 에어로졸은 반투명한 입자로 거의 모든 방사선을 반사해 대기 온도를 냉각시킨다.

.

그래도 핵심은 지구온난화, 우리 모두 더 노력해야

낙관적으로 바라보면 올해의 극단적인 이상기후는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지구온난화 외에도 다양한 요인이 작용한 특이사례로 치부할 수 있다. 반대로 냉정하게 평가하면, 온실가스 배출 외 다른 요인은 모두 몇 년 지나지 않아 사라질 단기적인 요인에 불과하다. 당장 이를 해결할 뾰족한 방법이 있는 것도 아니다. 다른 변수를 함께 고려한다고 해도 여전히 기후위기의 핵심은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지구 온난화다. 이를 해결할 궁극적인 방법은 이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각국이 절실한 마음으로 탄소중립에 동참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낮추는 것뿐이다.

UN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는 올해 3월 ‘제6차 평가보고서 종합보고서’를 만장일치로 승인하며, 단기 기후행동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지구의 평균 온도를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 1.5도 또는 2도 이하로 제한하는 데 필요한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치와 현재 세계 각국이 설정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치 사이에는 아직도 상당한 격차가 있다는 엄중한 경고도 함께였다.

‘세계 자연재해 감소의 날’을 맞아 다시 한번 되물어보고 싶다. 우리 인류는 기후위기를 억제하고 자연재해를 줄이기 위해 정말 최선을 다하고 있는가? 지금이라도 기후위기 해결을 위해 무언가 더 할 수 있는 것은 없을지 고민해 보고 기후행동에도 적극적으로 동참하는 모두의 노력이 절실한 때다.

연관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