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코플랜트, 환경부와 혁신기술 기반 녹색산업 해외 진출 협력방안 논의
SK에코플랜트, 녹색산업 육성을 통해 글로벌 시장 선점의 초석을 다지다.
- 한화진 환경부 장관, 국내 최초 ‘소각로 AI 운전 최적화 솔루션’ 운영 중인 SK에코플랜트 산하 ‘경인환경에너지’ 방문 ∙∙∙ AI 소각로 및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등 해외 진출 협력방안 논의
- 녹색산업 선도기업 SK에코플랜트, 환경부 업무보고 및 환경부 주최 ‘녹색산업 수출 얼라이언스 출범식’ 참석 ∙∙∙ 환경 대표기업으로 연이은 행보
- SK에코플랜트, 혁신기술과 글로벌 파트너십 기반 미래경쟁력 확보, 2년만에 환경∙에너지 기업으로 완벽한 변신 ∙∙∙ 성장성 높은 글로벌 녹색시장 선점 준비 완료
국내 대표 환경기업 SK에코플랜트가 환경부와 협력을 강화하며 AI(인공지능)·DT(디지털전환) 및 폐배터리 재활용 중심의 고도화된 녹색산업 기술력을 앞세워 글로벌 녹색시장 선점에 나선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 26일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인천 서구에 위치한 SK에코플랜트 자회사 환경시설관리㈜(옛 EMC홀딩스) 산하 ‘경인환경에너지’를 방문했다고 27일 밝혔다.
환경시설관리㈜는 국내 최대 종합 환경플랫폼 기업으로 전국 1290여 개의 수처리시설과 4개의 소각시설, 매립시설 및 폐유∙폐수 처리시설을 운영하며 녹색산업 전반을 아우르고 있다. 환경시설관리㈜ 산하 경인환경에너지는 1일 소각용량 96톤, 시간 당 스팀생산용량 25톤, 발전설비 용량 1.13MWh 규모의 소각시설이다.
SK에코플랜트는 2020년 환경시설관리㈜ 인수 후 볼트온(Bolt-on, 유사기업과의 인수·합병) 전략에 따라 녹색사업 확장에 매진해 왔다. 2년 만에 12개의 폐기물 처리, E-waste(전기·전자폐기물), 리사이클링 기업을 인수 및 투자하며 수처리 1위, 일반소각 1위, 매립 3위 등 국내 대표 환경기업 지위를 공고히 하고 있다.
이번 방문은 환경부가 녹색 신산업의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 등을 청취하고 현장의 애로사항을 확인하기 위해 계획됐다. 환경부는 올해 초 업무보고를 통해 탄소중립, 순환경제, 물산업 등 3대 녹색 신산업 분야를 적극 육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방문 행사에는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과 담당 임원, 한화진 환경부 장관과 장기복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 등 양측 관계자들이 참석했으며, SK에코플랜트가 자체 보유한 소각로 AI 운전 최적화 솔루션 및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의 해외 진출 전략과 계획 등에 대해 공유하고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이어 양측 참석자들은 국내 최초로 AI 운전 최적화 기술을 도입한 소각로를 둘러보고, 직접 AI 솔루션을 시연해 보기도 했다.
SK에코플랜트는 2021년 글로벌 클라우드 리딩기업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함께 국내 최초로 소각로 AI 운전 최적화 솔루션을 개발한 바 있다. 소각시설에서 200여개의 운전데이터를 수집한 뒤, 60여가지 변수를 추려내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이를 AI에 학습시켜 투입 폐기물을 조절함으로써 소각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배출가스 유해물질 농도를 제어하는 방식의 ‘소각로 AI 운전 최적화 솔루션’ 개발을 완성했다. 이 솔루션을 SK에코플랜트 산하 소각시설 5곳에 적용해 자체측정한 결과 일반 소각 시설과 비교해 일산화탄소 발생량은 49.7%, 질소산화물 발생량은 12.4% 감소했으며, 소각 폐열을 활용한 스팀 생산량 증대, 소모성 자재 연한 증대 등 효과도 확인됐다.
SK에코플랜트는 이 솔루션을 자사 소각시설 뿐만 아니라 국내 다른 소각시설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Software as a Service) 형태로 제공하는 방안도 계획 중이다. 국내 300여개 소각시설에 AI 솔루션이 적용될 경우 연평균 일산화탄소 저감량은 768톤, 질소산화물 저감량은 572톤으로 예상된다. 이산화탄소 발생량 또한 연평균 21만2858톤 감소할 것으로 자체 추산했다.
이날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녹색산업은 혁신기술 기반 육성을 통해 전 세계 신시장 개척 및 수출이 가능한 분야”라며, “해외 진출을 위한 재원조달과 혁신기술 확보를 위한 R&D 지원 등 정부의 적극적인 협력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국내 대표 녹색산업 선도기업으로서 환경성에 초점을 맞춘 기술 개발 노력에 감사하다”고 격려하며, 업계 애로사항도 함께 청취했다.
SK에코플랜트는 국내 대표 환경기업이자, 녹색산업 선도기업으로서 국내 녹색산업 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를 위해 연초부터 바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앞서 SK에코플랜트는 지난 3일 업계를 대표해 환경부 업무보고 토론 섹션에 참석한 바 있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미래 먹거리로 환경∙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지목하며 정부의 지원과 인센티브의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어 지난 19일에는 환경부 주최로 열린 ‘녹색산업 수출 얼라이언스 출범식’에 참여해 환경부와 녹색수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행사는 민관 협업을 통한 녹색산업 생태계 구축 및 수출동력 확보를 위해 마련됐다. SK에코플랜트와 환경부는 협업을 통한 단위사업별 수출∙수주 지원전략을 수립하고, 적극 추진하기로 뜻을 모았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혁신기술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환경부와 협력을 더욱
강화해 성장성 높은 글로벌 녹색시장을 선점할 것”이라며 “특히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등 고성장이 예상되는 미래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SK에코플랜트는 AI·DT를 중심으로 한 폐기물 처리·관리는 물론 리사이클링 중심의 업스트림 영역으로 사업을 대폭 확장하고 있다. 소각시설 폐열을 활용한 스팀·전력생산 및 하수찌꺼기를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 등 폐기물의 에너지화(Waste to Energy)와 더불어 E-Waste, 폐배터리에서 희소금속을 추출하는 폐기물 자원화(Waste to Resources), 이른바 ‘도시광산’ 사업의 성과도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다.
특히 SK에코플랜트는 2050년 600조원 규모로 성장이 예상되는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선점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펼치고 있다. 혁신기술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유럽, 미국, 아시아 등 주요 거점을 마련했다. 허브 앤 스포크(Hub&Spoke, 각 지점 물량들을 중심에 집중시키고 다시 지점으로 분류하는 시스템) 전략을 바탕으로 리사이클링을 위한 폐배터리 물량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이미 전 세계 22개국에 44개 E-waste 처리시설 등을 보유한 자회사 테스(TES)를 필두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대 중이다. 테스는 현재 유럽 네덜란드 로테르담, 호주 시드니 서부 등 폐배터리 재활용을 위한 추가 거점 확보도 한창이다.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관련 혁신기술 확보에도 힘을 쏟고 있다. 폐배터리에서 리튬, 니켈, 코발트 등 희소금속을 따로 추출하지 않고도 배터리 핵심소재인 전구체를 만드는 기술을 보유한 미국 어센드 엘리먼츠의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했다. 또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배터리 재활용 고도화 기술 공동 개발 및 테스의 재활용 처리 시설을 활용한 실증을 통해 사업화 기반을 마련하고 있으며, 배터리 전구체 제조 글로벌기업인 중국 CNGR 등 폐배터리 및 배터리 소재 관련 글로벌 파트너들과 협업도 확대 중이다. 이를 바탕으로 폐배터리에서 회수한 희소금속을 배터리 제조에 다시 투입하는 완결적 순환체계(Closed Loop)의 실현에 가장 앞서 있다는 평가다.
연관 콘텐츠
SK에코플랜트, 환경부와 혁신기술 기반 녹색산업 해외 진출 협력방안 논의
- 한화진 환경부 장관, 국내 최초 ‘소각로 AI 운전 최적화 솔루션’ 운영 중인 SK에코플랜트 산하 ‘경인환경에너지’ 방문 ∙∙∙ AI 소각로 및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등 해외 진출 협력방안 논의
- 녹색산업 선도기업 SK에코플랜트, 환경부 업무보고 및 환경부 주최 ‘녹색산업 수출 얼라이언스 출범식’ 참석 ∙∙∙ 환경 대표기업으로 연이은 행보
- SK에코플랜트, 혁신기술과 글로벌 파트너십 기반 미래경쟁력 확보, 2년만에 환경∙에너지 기업으로 완벽한 변신 ∙∙∙ 성장성 높은 글로벌 녹색시장 선점 준비 완료
국내 대표 환경기업 SK에코플랜트가 환경부와 협력을 강화하며 AI(인공지능)·DT(디지털전환) 및 폐배터리 재활용 중심의 고도화된 녹색산업 기술력을 앞세워 글로벌 녹색시장 선점에 나선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 26일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인천 서구에 위치한 SK에코플랜트 자회사 환경시설관리㈜(옛 EMC홀딩스) 산하 ‘경인환경에너지’를 방문했다고 27일 밝혔다.
환경시설관리㈜는 국내 최대 종합 환경플랫폼 기업으로 전국 1290여 개의 수처리시설과 4개의 소각시설, 매립시설 및 폐유∙폐수 처리시설을 운영하며 녹색산업 전반을 아우르고 있다. 환경시설관리㈜ 산하 경인환경에너지는 1일 소각용량 96톤, 시간 당 스팀생산용량 25톤, 발전설비 용량 1.13MWh 규모의 소각시설이다.
SK에코플랜트는 2020년 환경시설관리㈜ 인수 후 볼트온(Bolt-on, 유사기업과의 인수·합병) 전략에 따라 녹색사업 확장에 매진해 왔다. 2년 만에 12개의 폐기물 처리, E-waste(전기·전자폐기물), 리사이클링 기업을 인수 및 투자하며 수처리 1위, 일반소각 1위, 매립 3위 등 국내 대표 환경기업 지위를 공고히 하고 있다.
이번 방문은 환경부가 녹색 신산업의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 등을 청취하고 현장의 애로사항을 확인하기 위해 계획됐다. 환경부는 올해 초 업무보고를 통해 탄소중립, 순환경제, 물산업 등 3대 녹색 신산업 분야를 적극 육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방문 행사에는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과 담당 임원, 한화진 환경부 장관과 장기복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 등 양측 관계자들이 참석했으며, SK에코플랜트가 자체 보유한 소각로 AI 운전 최적화 솔루션 및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의 해외 진출 전략과 계획 등에 대해 공유하고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이어 양측 참석자들은 국내 최초로 AI 운전 최적화 기술을 도입한 소각로를 둘러보고, 직접 AI 솔루션을 시연해 보기도 했다.
SK에코플랜트는 2021년 글로벌 클라우드 리딩기업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함께 국내 최초로 소각로 AI 운전 최적화 솔루션을 개발한 바 있다. 소각시설에서 200여개의 운전데이터를 수집한 뒤, 60여가지 변수를 추려내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이를 AI에 학습시켜 투입 폐기물을 조절함으로써 소각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배출가스 유해물질 농도를 제어하는 방식의 ‘소각로 AI 운전 최적화 솔루션’ 개발을 완성했다. 이 솔루션을 SK에코플랜트 산하 소각시설 5곳에 적용해 자체측정한 결과 일반 소각 시설과 비교해 일산화탄소 발생량은 49.7%, 질소산화물 발생량은 12.4% 감소했으며, 소각 폐열을 활용한 스팀 생산량 증대, 소모성 자재 연한 증대 등 효과도 확인됐다.
SK에코플랜트는 이 솔루션을 자사 소각시설 뿐만 아니라 국내 다른 소각시설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Software as a Service) 형태로 제공하는 방안도 계획 중이다. 국내 300여개 소각시설에 AI 솔루션이 적용될 경우 연평균 일산화탄소 저감량은 768톤, 질소산화물 저감량은 572톤으로 예상된다. 이산화탄소 발생량 또한 연평균 21만2858톤 감소할 것으로 자체 추산했다.
이날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녹색산업은 혁신기술 기반 육성을 통해 전 세계 신시장 개척 및 수출이 가능한 분야”라며, “해외 진출을 위한 재원조달과 혁신기술 확보를 위한 R&D 지원 등 정부의 적극적인 협력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국내 대표 녹색산업 선도기업으로서 환경성에 초점을 맞춘 기술 개발 노력에 감사하다”고 격려하며, 업계 애로사항도 함께 청취했다.
SK에코플랜트는 국내 대표 환경기업이자, 녹색산업 선도기업으로서 국내 녹색산업 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를 위해 연초부터 바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앞서 SK에코플랜트는 지난 3일 업계를 대표해 환경부 업무보고 토론 섹션에 참석한 바 있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미래 먹거리로 환경∙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지목하며 정부의 지원과 인센티브의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어 지난 19일에는 환경부 주최로 열린 ‘녹색산업 수출 얼라이언스 출범식’에 참여해 환경부와 녹색수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행사는 민관 협업을 통한 녹색산업 생태계 구축 및 수출동력 확보를 위해 마련됐다. SK에코플랜트와 환경부는 협업을 통한 단위사업별 수출∙수주 지원전략을 수립하고, 적극 추진하기로 뜻을 모았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혁신기술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환경부와 협력을 더욱
강화해 성장성 높은 글로벌 녹색시장을 선점할 것”이라며 “특히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등 고성장이 예상되는 미래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SK에코플랜트는 AI·DT를 중심으로 한 폐기물 처리·관리는 물론 리사이클링 중심의 업스트림 영역으로 사업을 대폭 확장하고 있다. 소각시설 폐열을 활용한 스팀·전력생산 및 하수찌꺼기를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 등 폐기물의 에너지화(Waste to Energy)와 더불어 E-Waste, 폐배터리에서 희소금속을 추출하는 폐기물 자원화(Waste to Resources), 이른바 ‘도시광산’ 사업의 성과도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다.
특히 SK에코플랜트는 2050년 600조원 규모로 성장이 예상되는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선점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펼치고 있다. 혁신기술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유럽, 미국, 아시아 등 주요 거점을 마련했다. 허브 앤 스포크(Hub&Spoke, 각 지점 물량들을 중심에 집중시키고 다시 지점으로 분류하는 시스템) 전략을 바탕으로 리사이클링을 위한 폐배터리 물량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이미 전 세계 22개국에 44개 E-waste 처리시설 등을 보유한 자회사 테스(TES)를 필두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대 중이다. 테스는 현재 유럽 네덜란드 로테르담, 호주 시드니 서부 등 폐배터리 재활용을 위한 추가 거점 확보도 한창이다.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관련 혁신기술 확보에도 힘을 쏟고 있다. 폐배터리에서 리튬, 니켈, 코발트 등 희소금속을 따로 추출하지 않고도 배터리 핵심소재인 전구체를 만드는 기술을 보유한 미국 어센드 엘리먼츠의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했다. 또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배터리 재활용 고도화 기술 공동 개발 및 테스의 재활용 처리 시설을 활용한 실증을 통해 사업화 기반을 마련하고 있으며, 배터리 전구체 제조 글로벌기업인 중국 CNGR 등 폐배터리 및 배터리 소재 관련 글로벌 파트너들과 협업도 확대 중이다. 이를 바탕으로 폐배터리에서 회수한 희소금속을 배터리 제조에 다시 투입하는 완결적 순환체계(Closed Loop)의 실현에 가장 앞서 있다는 평가다.